1. 현당 2. 장은아 3. 사랑의 하모니 4. 여진 5. 반지 6. 업타운 7. 송파 산대놀이
** 현당 ( Hyeon Dang )
1. 물새야 왜 우느냐 2. 비내리는 고모령 3. 아내에게 바치는 노래
4. 서울의 밤 5. 너도 역시 여자 였구나 6. 사내 7. 아빠의 청춘
8. 충청도 아줌마 9. 사랑이 깊으면 10. 여수야화 11. 모정의 세월
12. 정하나 준 것이 13. 사랑합니다 14. 어머님 15. 여자는 모르지
16. 여자는 모르지 17. 사랑의 포로 18. 나그네 설움 19. 첫차
20. 신라의 달밤 21. 제물포 아가씨
현당 : 본명이 선형선인 그는 1989년 " 다시 한번 " 이라는 곡으로 가요계에 데뷔하였다.
********************************************* 위로 ( 목차 )
** 장은아 ( Jang Eun-ah )
1. 고귀한 선물 , 라이브(1) , 라이브(2) ( 가사 ) 2. 결혼의 꿈
3. 내 작은 고운님 4. 오늘밤 내게 5. 작은 나비 6. 모닥불
7. 이 거리를 생각하세요 , 뮤직 비디오 , 라이브 ( 가사 )
8. 작은 나비 / 내 마음이 흐를 때 (1981) [Full Album]
9. 고귀한 선물 / 물 긷는 여인 (1978) [Full Album]
장은아 : 1977년 " 어떤 옛날에 " 라는 곡으로 가요계에 데뷔한 여성 솔로 가수로서 1970대와 1980년대를 풍미한 포크 가수이다.
********************************************* 위로 ( 목차 )
** 사랑의 하모니 ( Love Harmony Trio )
1. 별이여 사랑이여 , 라이브(1) , 라이브(2) ( 가사 ) 2. 외로운 건배
3. 야화 , 라이브 ( 가사 ) 4. 슬퍼서 아름다운 얘기야
사랑의 하모니 : 1980년 결성되어 1981년 제2회 강변가요제에서 " 별이여 사랑이여 " 로 그랑프리를 수상하면서 가요계에 데뷔한 남성 3인조 그룹이다, 1983년에는“ 야화 ”를 발표하며 각 가요순위를 휩쓸었다.
********************************************* 위로 ( 목차 )
** 여진 ( Yeo Jin )
1. 꿈을 꾼 후에 2. 그리움만 쌓이네 ( 가사 )
여진 : 본명은 남궁은영으로서 1980년대와 1990년대에 활동한 여성가수이다.
********************************************* 위로 ( 목차 )
** 반지 ( Ban Ji )
1. 올가을엔 사랑할거야
반지 : 1993년 제 5회 KBS 목포가요제 대상을 수상하면서 자신의 이름을 알린 반지는 1995년 남인수 가요제에서 대상까지 거머쥐며 가창력을 인정받았다. 이후 지난 2006년 MBC와 KBS 라디오 프로그램 연말결산 노래대회에서 상을 휩쓸면서 그의 진가를 발휘하기도 하였다.
********************************************* 위로 ( 목차 )
** 업타운 ( Uptown )
1. 흑기사 , 라이브 ( 가사 ) 2. 다 줄께 3. Let's Get It On 4. Diet
5. 다시 만나줘 , 뮤직 비디오 , 라이브 ( 가사 ) 6. No More Cry
7. Baby Baby 8. Remember 9. I Will Be Missing You 10. 중독
11. Game Over 12. Trust Nobody 13. Still Here 14. New Era
15. 올라올라 16. 돌아와 17. UPT Paradox 18. 걱정하지마
19. Get Your Game Right 20. 피에스타 21. 마이 스타일
22. 내안의 그대 , 뮤직 비디오 ( 가사 ) 23. 걱정하지마
24. 내일을 위해
업타운 : 힙합 4인조 그룹으로서 1997년 데뷔하여 흑인 음악의 토착화를 표방하여, 한국 초기 힙합씬의 대표적인 그룹으로 자리잡았었다.
********************************************* 위로 ( 목차 )
** 송파 산대놀이 ( Songpa Sandae Noli )
1. 송파 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松坡山臺遊戱) : 중요무형문화재 제49호. 송파는 지금의 송파동이 아니고 한강변 언덕 위에 있던 구(舊)송파진(송파나루)을 말한다. 이곳은 1925년 대홍수가 나기 전까지만 해도 객주집이 270호나 되는 국내에서 손꼽히는 장터였다. 이곳에 약 200년 전 송파산대놀이가 창설되어 중간에 잠시 쇠퇴하였다가 1900년 초 다시 부활되어 활기를 띠었다. 정월대보름 ·단오 ·추석 등의 명절에 연중행사로 놀아 왔는데 단오에는 1주일씩 계속되기도 하였다. 음악반주에 맞추어 춤이 주가 되고 몸짓과 대사가 따르는 탈놀음으로 산대도감극(山臺都監劇)의 한 분파이다. 놀이 내용은 길놀이, 고사, 첫째마당(상좌춤), 둘째마당(옴중 ·먹중), 셋째마당(연잎과 눈끔적이), 넷째마당(팔먹중:북놀이 ·곤장놀이 ·침놀이), 다섯째마당(노장:파계승놀이 ·신장수놀이 ·취발이놀이), 여섯째마당(샌님:의막사령놀이 ·미얄할미놀이 ·포도부장놀이), 일곱째마당(신할아비와 신할미)으로 이루어진다. 주제는 승려의 타락, 가족관계의 갈등 등이다. 이 놀이는 탈만도 33종류나 되는데 대부분 바가지로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