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 217 )



1. 백년설      2. 남백송      3. 이장희     4. 손현희     5. 김연숙      6. 이혜미      7. 춘앵전



** 백년설 ( Baek Nyeon-seol )


1. 산팔자 물팔자     2. 일자일루     3. 남포불 역사     4. 알성급제

5. 눈물의 수박등     6. 내 고향     7. 복지만리     8. 두견화 사랑

9. 추억의 백마강     10. 향토 예비 군가     11. 아주까리 수첩

12. 번지 없는 주막(1)   ,   번지 없는 주막(2)     13. 타향여로

14. 나그네 설움(1)   ,   나그네 설움(2)     15. 눈물의 백련화

16. 대지의 항구(1)   ,   대지의 항구(2)     17. 만포선 길손

18. 휴전선 나그네     19. 비 오는 해관     20. 고향성

21. 홍도야 울지마라

 백년설 : 백년설 (1914년 1월 19일 ~ 1980년 12월 6일)의 본명은 이갑용(李甲龍), 이창민(李昌民)으로서 1938년 " 유랑극단 " 을 발표하면서 가요계에 데뷔한 남성 솔로 가수이다. 대표곡은 1940년 발표되어 이후 오랫동안 널리 불린 〈나그네 설움〉, 〈번지없는 주막〉이며, 이 밖에도 〈삼각산 손님〉, 〈고향 길 부모길〉, 〈남포불 역사〉, 〈눈물의 백년화〉, 〈산팔자 물팔자〉, 〈천리정처〉, 〈아주까리 수첩〉 등 히트곡이 많이 있다.


*****************************************    위로 ( 목차 )


** 남백송 ( Nam Baek-song )


1. 나루터 고향 길     2. 다방 아가씨     3. 만포진 길손     4. 방앗간 처녀

5. 마도로스 수기     6. 잘있거라 항구야     7. 사막의 한     8. 청춘의 꿈

9. 나그네 설움     10. 번지 없는 주막   ,   라이브     11. 눈물의 수박등

12. 한 잔의 한 잔 사랑     13. 비에 젖은 주막집     14. 아주까리 등불

15. 전화 통신     16. 마음의 고향     17. 홍도야 울지마라   ,   라이브

18. 만리포 길손     19. 일자일루     20. 물방아 도는 내력   ,   라이브

21. 대지의 항구     22. 북극 오천(五千) Km     23. 도라산 돌아돌아

24. 유정천리     25. 고향길 부모길     26. 향수     27. 죄 많은 인생

28. 경상도 아가씨   ,   라이브     29. 울고 넘는 박달재   ,   라이브

30. 청춘아 내 청춘아     31. 뽕짝선생     32. 향기 품은 군사우편

33. 무너진 사랑탑     34. 이별의 삼등열차     35. 생일 없는 소년

36. 어머님 사랑   ,   라이브     37. 인생수첩     38. 마의태자

39. 복지만리     40. 꽃마차     41. 무정열차     42. 유랑극단

43. 굳세어라 금순아     44. 홍콩 아가씨     45. 두견화 사랑

46. 휘파람 불며     47. 휴전선 나그네     48. 산팔자 물팔자

49. 즐거운 우편배달     50. 서울행 삼등실   ,   라이브

51. 아리조나 카우보이     52. 이별의 부산 정거장

50. 그날이 오면

 남백송 : 남백송 (1935년 11월 1일 ~ 2015년 9월 30일)의 본명은 김지환이며 1954년 " 무정 항구 " 를 발표하면서 가요계에 데뷔한 남성 솔로 가수이다. 대표곡으로는 <불효자는 웁니다>, <홍도야 울지마라>, <대지의 항구>등이 있다.


*****************************************    위로 ( 목차 )


** 이장희 ( Lee Jang-hee )


1. 오늘밤 왠일인지    2. 아가씨는 어려요    3. 비와 나그네    4. 아가씨

5. 그 여인 그 표정    6. 나야 나    7. 한잔의 추억 / 그건 너    8. 무지개

9. 자정이 훨씬 넘었네  ,  라이브(1)  ,  라이브(2)   10. 촛불을 켜세요

11. 그 애와 나랑은  ,  라이브  (  가사  )    12. 바닷가 언덕    13.

14. 자정이 휠씬 넘었네    15. 바닷가의 언덕    16. 그애와 나랑은

17. 나 그대에게 모두 드리리  ,  라이브  (  가사  )    18. 누구일까

19. 잊혀진 사람  ,  라이브(1)  ,  라이브(2)    20. 나는 누구인가

21. 당신을 처음 본 순간    22. 편지  ,  라이브(1)  ,  라이브(2)

23. 그건 너  ,  라이브    24. 비의 나그네    25. 바닷가의 추억

26. 이젠 잊기로 해요    27. 겨울 이야기(1)  ,  겨울 이야기(2)

28. 휘파람을 부세요    29. 추워요    30. 울릉도는 나의 천국

31. 당신은 누군가요    32. 한잔의 추억  ,  라이브  (  가사  )

33. 그건 너! (1973) [Full Album]    34. 한 소녀가 울고 있네

35. 내 사랑 제인    36. 그대여 눈을 감아요    37. 꿈 이야기

38. 안녕이란 두 글자는 너무 짧죠    39. 슬픔이여 안녕

40. 아빠의 자장가    41. 안녕    42. 그대여 속삭여줘요

43. 밤 바람 마음    44. 헝크러진 내 머리    45. 친구여

46. 내 나이 육십하고 하나 일 때  ,  라이브  (  가사  )

47. 내 마음을 채워주오    48. 아무도 모르는 집

49. 창가에 홀로 앉아    50. 휘파람을 부세요

51. 마지막 노래    52. 불꺼진 창    53. 애인

 이장희 (李章熙) : 1971년에 DJ였던 이종환의 권유로 가수로 데뷔했으며 대표곡은 《겨울 이야기》, 《그건 너》, 《나 그대에게 모두 드리리》, 《자정이 훨씬 넘었네》, 《슬픔이여 안녕》 등이 있다. 이후 그는 사랑과 평화, 김태화 등의 가수들을 프로듀싱하며 후배양성을 하기도 했으며, 1982년에는 미국에서 음반을 발표하기도 했다.


*****************************************    위로 ( 목차 )


** 손현희 ( Son Hyeon-hui )


1. 넌 외로운 그림자  (  가사  )    2. 그대는 바람  ,  뮤직 비디오  (  가사  )

3. 하얀 손     4. 돌아오는 길목에서     5. 나그네 새     6. 참새 두 마리

7. 님 실은 꽃배    8. 늘 그자리에서    9. 가을의 추억    10. 고향바다

11. 오늘은 어떤 일이    12. 내 곁에    13. 이름 없는 여인이 되어

14. 울면서 보내는 계절     15. 허수아비     16. 선물     17. 연인

18. 4집 이별 선언 / 그대는 애써 웃음 짓네 (1989) [Full Album]

19. 3집 나그네 새 / 돌아오는 길목에서 (1986) [Full Album]

20. 이름 없는 새  ,  라이브(1)  ,  라이브(2)  (  가사  )

21. 1집 하얀 손 / 이름 없는 새 (1984) [Full Album]

22. 2집 그대는 바람 / 난초화 (1985) [Full Album]

 손현희 (孫賢姬) : 1983년 제4회 MBC 강변가요제에서 " 이름없는 새 " 라는 곡으로 대상을 수상한 여성 솔로 가수이다.


*****************************************    위로 ( 목차 )


** 김연숙 ( Kim Yeon-sook )


1. 사랑    2. 슬픈 계절에 만나요    3. 백지로 보낸 편지    4. 소녀의 기도

5. 그날  ,  라이브(1)  ,  라이브(2)  (  가사  )    6. 그것은 눈물이 아니야

7. 초연  ,  라이브  (  가사  )    8. 나보다 더 나를 사랑하는 님이시여

9. 영영 카페 메들리     10. 통기타 포크송 메들리     11. 내가 만일

12. 찾고 싶은 내사랑  (  가사  )    13. 해후    14. 그런 여자 없나요

15. 순정    16. 숨어 우는 바람소리  (  가사  )    17. 친구의 고백

18. 스리 살짝  ,  뮤직 비디오  (  가사  )    19. 달려와  (  가사  )

20. 과녁  (  가사  )

 김연숙 : 1977년 KBS 전국노래자랑 연말 결산에서 우수상을 받은 뒤 유명 레코드사와 계약해 1979년 가요계에 데뷔한 여성 솔로 가수로서 , 1982년 " 나보다 더 너를 사랑하는 님이시여 " 라는 정식 음반을 발표하였다.


*****************************************    위로 ( 목차 )


** 이혜미 ( Lee Hye-mi )


1. 눈물의 연평도   2. 금산아가씨   3. 두견새 우는 사연   4. 낙화유수

5. 노랫가락 차차차     6. 넝쿨째 굴러 온 당신     7. 첫눈 내린 거리

8. 한강   9. 바다가 육지라면   10.    11. 모녀기타   12. 어머님

13. 남원의 봄사건    14. 소양강 처녀

 이혜미 : 1997년 " 사랑열차 주말열차 " 라는 곡으로 가요계에 데뷔하였다.


*****************************************    위로 ( 목차 )


** 전통무용 - 춘앵전 ( Chunaengjeon )


1. 춘앵전

 춘앵전 (春鶯囀) : 춘앵전은 순조 때 효명 세자가 순종 숙황후의 40세를 경축하기 위해 지은 것으로, 어느 화창한 봄날 아침, 버드나무 가지 사이를 날아다니는 꾀꼬리 소리에 감동하여 무용으로 만든 것이라 한다. 복식은 꾀꼬리를 상징하는 노란 앵삼, 붉은 띠, 7색 한삼, 부용관으로 장식하였다. 우리나라의 궁중 무용은 궁중의 향연이나 연회 때 추어졌기 때문에 왕실의 존엄과 위엄을 찬양하는 내용이 대부분이며, 화려한 무복과 우아한 음악에 맞추어 장엄한 춤사위로 충과 예를 표현한다. 이는 궁중 무용이 유교적 관념론에 지배되어 형식의 엄격성을 중시하고 무용수 개인의 감정이나 개성적인 표현은 억제했기 때문일 것이다. 6자 길이(약182cm)의 화문석(花紋席 : 꽃무늬로 화려하게 수놓은 자리) 위에서 한없이 느리고 우아한 동작으로 추는 이 춤은 궁중정재의 무용답게 절제된 동작, 우아하고 단아한 춤사위를 보여준다. 원래 정재는 '군왕에게 예재(藝才)를 바친다'는 뜻으로 춤뿐 아니라 땅재주, 줄타기 등 모든 예술적 재능을 아우르던 것인데, 차츰 궁중 춤을 가리키는 말로 굳어졌다. 민속춤의 흐드러진 멋과 달리 정재는 절제와 품격의 장중한 아름다움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