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 159 )



1. 황금심    2. 김용만    3. 김원중    4. 김상범    5. 한동준    6. 정오차   7. 동래 한량춤



** 황금심 ( Hwang Geum-sim )


1. 안오시나요    2. 추억의 탱고    3. 여창(旅窓)에 기대어    4. 피리소리

5. 왜 못오시나    6. 목포의 눈물    7. 수덕사에 여승    8. 눈물의 신금단

9. 한양낭군 (漢陽郎君)    10. 총각 (總角) 하소연    11. 꿈 속의 어머니

12. 날 다려가소    13. 이별 넋두리    14. 울산 큰 애기    15. 능수버들

16. 지는 석양(夕陽) 어이하리    17. 사랑의 뱃길 삼만리    18. 장희빈

19. 뽕따러 가세    20. 대한팔경    21. 님이 좋아요    22. 여자의 일생

23. 이수일과 심순애    24. 피리 불던 모녀 고개    25. 당신입니다

26. 항구의 일야    27. 노래하는 부부    28. 만포선 천리길

29. 햇빛 없는 그림자    30. 풍년가    31. 미우나 고우나

32. 알뜰한 당신  ,  라이브(1)  ,  라이브(2)  (  가사  )

33. 삼다도 소식  (  가사  )

 황금심 : 본명은 황금동으로서 1936년 15세의 나이에 오케레코드 전속가수 선발 모집에서 1등으로 입상하면서 가수로 데뷔하게 되었다. 그해 오케레코드사에서 발표한 〈왜 못 오시나요〉와 〈지는 석양 어이 하리오〉가 데뷔곡이다. 황금심은 꾀꼬리처럼 고운 목소리로 '꾀꼬리의 여왕'이라는 별명으로 불렸으며, 민요조의 구성진 창법은 대중의 큰 사랑을 받았다. 일제 강점기에 남긴 히트곡으로는 이면상 작곡의 신민요인 〈울산 큰애기〉와 블루스곡 〈외로운 가로등〉을 비롯하여 〈마음의 항구〉, 〈알려주세요〉, 〈청치마 홍치마〉, 〈꿈꾸는 시절〉, 〈여창에 기대어〉, 〈만포선 천리 길〉, 〈날 다려가소〉, 〈한 많은 추풍령〉, 〈추억의 탱고〉, 〈알뜰한 당신〉, 〈한양은 천리원정〉 등이 있다.


*****************************************    위로 ( 목차 )


** 김용만 ( Kim Yong-man )


1. 수박행상(수박타령)     2. 생일 없는 소년   ,   라이브     3. 청춘의 꿈

4. 왈순 아지매     5. 잘있거라 부산항     6. 총각 진정서     7. 낙화삼천

8. 회전의자   ,   라이브     9. 남원의 애수   ,   라이브     10. 효녀심청

11. 백만원이 생긴다면     12. 여반장     13. 청산유수     14. 술전쟁

15. 잘있거라 부산항     16. 서울구경     17. 오늘 밤은 차차차

 김용만 : 1953년 " 남원의 애수 " 로 가요계에 데뷔한 남성 솔로 가수로서 「효녀심청」, 「청산유수」, 「삼등인생」, 「청춘의 꿈」, 「생일 없는 소년」, 「회전의자」, 「잘 있거라 부산항」, 「못난 내 청춘」, 「왈순 아지매」, 「여반장」, 「오늘밤은 차차차」, 「김군 백군」, 「항구의 0번지」, 「무영탑」, 「다정한 내 친구」, 「마도로스 도돔바」 등 숱한 히트곡이 있다.


*****************************************    위로 ( 목차 )


** 김원중 ( Kim Won-joong )


1. 직녀에게  ,  라이브(1)  ,  라이브(2)  (  가사  )    2. 술 한 잔    3. 모모

4. 바위섬  ,  라이브(1)  ,  라이브(2)  (  가사  )    5. 바다가 보이는 찻집

6. 꿈꾸는 사람만이 세상을 가질 수 있지    7. 내 나이 48

8. 그대 먼 곳에

 김원중 : 1985년 " 바위섬 " , 1988년 " 직녀에게 " 등으로 국민적인 사랑을 받았던 남성 솔로 가수이다.


*****************************************    위로 ( 목차 )


** 김상범 ( Kim Sang-beom )


1. 오뚜기 인생    2. 중년 신사    3. 새출발    4. 암행어사

5. 중년 신사 / 새출발 (1983) [Full Album]

 김상범 : 1960~70년대 서민의 애환을 노래했던 " 오뚝이 인생 " 의 가수로서 '오십보 백보' '중년 신사' 등 고달픈 현실을 밝고 경쾌하게 묘사한 노래를 불러 '만담과 가요를 결합시켰다'는 의미에서 '만요'가수로 불리기도 했다.


*****************************************    위로 ( 목차 )


** 한동준 ( Han Don-joon )


1. 그대가 이세상에 있는 것만으로    2. 너를 사랑해  ,  라이브  (  가사  )

3. 잊을 수 없어     4. 지하철 역에서     5. 새 생활 내게     6. 섬 소년

7. 목동에서     8. 꼬마인형     9. 푸른 정원     10. 사랑하는 사람들

11. 그대가 이 세상에 있는 것 만으로    12. 7월 3일   13. 우리처럼

14. 지난 겨울 그대는 떠나고    15. 가슴 속의 바다   16. 서로의 길

17. 자유로운 날    18. 그대는 기억하나요    19. 아무도 모르게

20. 그리움    21. 우리 사랑 솔잎처럼    22. 내 안에 있는 그대

23. 처음 받은 느낌으로    24. 다시 만나는 날엔    25. 파블로

26. 천국과 같은 나라    27. 사랑은 그렇게    28. 아름다운 꿈

29. 사랑의 서약  ,  뮤직 비디오  (  가사  )    30. 사랑했지만

31. 세상 모든 기쁨을 그대 가슴에    32. 우리 처음 만난 날

33. 그대가 이 세상에 있는 것 만으로 (1991) [Full Album]

34. 나의 아픔    35. 밝은 곳으로    36. 그대는 떠나고

37. 친구들에게    38. 잘 가오 그대 (나의 벗이여)

39. 미소는 이제    40. 사랑의 마음 가득히

 한동준 (韓東俊) : 1989년 노래 그림이라는 그룹의 멤버로 데뷔 후 1991년 1집 《그대가 이 세상에 있는 것 만으로》로 가요계에 데뷔한 남성 솔로 가수이다. 대표곡은 《너를 사랑해》, 《사랑의 서약》등이 있다.


*****************************************    위로 ( 목차 )


** 정오차 ( Jeong O-Cha )


1. 바윗돌  ,  라이브(1)  ,  라이브(2)  (  가사  )

 정오차 : 1981년 제5회 MBC 대학가요제에서 대상을 수상하면서 가요계에 데뷔한 남성 솔로 가수이다.


*****************************************    위로 ( 목차 )


** 동래 한량춤 ( Dongnae Hanryang Dance )


1. 동래 한량춤

 동래 한량춤 (東萊閑良舞) : 동래한량춤은 동래의 지역색이 강하고, 독특한 춤가락이 가미된 남성춤이다. 이 춤은 예로부터 동래 지역 한량들이 추었던 춤으로서 전체적인 춤사위는 이 지역에서 전래되는 덧배기, 배김사위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일정하게 정해진 춤의 형식이나 구성 방식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한량들이 놀이판을 벌일 때 흥이 고조되면 즉흥적으로 추는 개인적인 춤인 허튼춤(입춤)을 중심으로 한, 호방하고 선이 굵은 홑 춤인 남성무로서의 여유와 함께 마당춤과 기방춤이 복합되어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래 동래 지역의 관속들이나 기방을 출입하는 한량들이 췄던 춤인 만큼 천박하지 않고 기품이 있으며, 동시에 즉흥적이며 개인적인 춤사위의 짜임새를 가지고 있는 예술성이 높은 춤이다. 또한 기방이라는 협소한 장소에서 자기 나름의 멋을 부리며 추는 입춤이므로 개인의 창조력과 함께 동작이 매우 섬세한 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