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Ready
** 진방남 ( Jin Bang-nam )
1. 넋두리 20년 2. 잘있거라 항구야
3. 불효자는 웁니다 , 라이브
4. 세세년년 5. 마상일기
6. 꽃마차
진방남 : 진방남 (1917년 8월 1일 ~ 2012년 3월 26일)의 본명은 박창호로 1938년 《불효자는 웁니다》라는 곡을 발표하면서 가요계에 데뷔한 남성으로서 , 1976년에는 <반야월가요작가상>을 제정하여 후배 양성에 기여하였다. 대표작에 《산장의 여인》 《단장의 미아리고개》 《유정천리》 《울고 넘는 박달재》 《산유화》 등이 있다.
Ad Ready
** 고봉산 ( Go Bong-san )
1. 사장님 환영회(1) , 사장님..(2)
2. 당신이 올때까지 (1978) [Album]
3. 아메리칸 마도로스
4. 고봉산 노래모음
5. 용두산 엘레지
고봉산 : 본명은 김민우로서 1961년 " 아메리카 마도로스 " 를 발표하면서 정식 가수로 가요계에 데뷔한 남성 작곡가 겸 가수이다.
Ad Ready
** 김세화 ( Kim Se-hwa )
1. 작은 연인들 , 라이브
( 가사 )
2. 열 아홉살 3. 나는 열일곱살이예요
4. 타인인 줄 알면서도 5. 별 바라기
6. 추억의 크리스마스 7. 작은 풀잎
8. 알거야 9. 여심 10. 작은 가슴
11. 나비소녀 , 라이브 ( 가사 )
12. 겨울 이야기 13. 봄 날은 간다
14. 아쉬운 사랑 15. 그 이름 아래
16. 어디쯤 가고 있을까 17. 이해
18. 김세화 노래모음 19. 옛시절
20. 야생화 , 라이브 21. 달빛
22. 떠나가던 날 23. 홀로 핀 꽃
24. 아그네스 25. 고운 님 내 님
26. 울고 싶어라 27. 앤의 연가
28. 김세화 독집 (1979) [Album]
29. 눈물로 쓴 편지 , 라이브
30. 오! 예스 31. 소중한 당신
32. 눈으로 33. 끝이 없는 길
34. 물보라 35. 여고 동창생
36. 내 노래에 날개가 있다면
37. 하루 전 쯤에 38. 남풍
39. 새끼 손가락 40. 정
41. 하얀나비 42. 미소
43. 인생은 나그네
44. 사랑의 열차
김세화 (金世花) : 본명은 김홍진으로서 1975년에 1집 앨범 " 김세화 독집 " 을 발표하면서 가요계에 데뷔한 여성 솔로 가수이다.
Ad Ready
** 고영준 ( Go Young-jun )
1. 정에 약한 남자 , 라이브 ( 가사 )
2. 꽃과 벌 / 참회의 눈물 (1988) [Album]
3. 해후 4. 인생역전 5. 안동역에서
6. 사연 많은 여자 7. 내 인생 일기장
8. 사나이 눈물 9. 내 영혼의 히로인
10. 무작정 당신이 좋아 11. 거짓말
12. 사랑 엿보기 13. 이별의 화살
14. 이별의 시작 15. 외로운 이별
16. 묻지를 마오 17. 두번 다시는
18. 어머님의 영광 (1980) [Album]
19. 타향살이 / 짝사랑 / 사막의 한
20. 미운 사랑 21. 뭐 그리 바빠
22. 님 실은 밤차 23. 툭 터놓고
24. 안녕 25. 이화 26. 터미널
27. 당신께 드리는 글 28. 운명
29. 애시당초 30. 길위의 사랑
31. 정든 님 32. 눈물의 술잔
33. 남자의 길 34. 사막의 한
35. 무정한 사람 36. 말해봐
37. 마지막 잎새 38. 가라지
39. 서울장미 40. 울고 웃고
41. 눈물 젖은 빵 42. 남남
43. 알뜰한 당신 , 라이브
44. 삼다도 소식 , 라이브
45. 나그네 마음 46. 영영
47. 내 눈물을 밟고 가세요
48. 타향살이 , 라이브
49. 천년을 빌려준다면
50. 짝사랑 , 라이브
51. 무시로 52. 연모
53. 빈잔 54. 무명초
55. 내 나이가 어때서
56. 남자라는 이유로
57. 보약 같은 친구
58. 부초 같은 인생
59. 비 내리는 명동
60. 고장난 벽시계
61. 외로운 가로등
62. 사랑과 이별
고영준 : 1990년 앨범 " 정에 약한 남자 " 를 발표하면서 가요계에 데뷔한 남성 솔로 가수이자 프로듀서이다.
Ad Ready
** 오승근 ( Oh Seung-keun )
1. Just The Way You Are 2. 잘 될거야
3. 처녀 뱃사공(1) , 처..(2) , 라이브
4. 술 한잔을 마시면서 5. 오뚝이 인생
6. Sanfrancisco Wear Some Flowers..
7. 맞다 맞다 니 말이 맞다 , 라이브
8. 있을 때 잘해 , 라이브 ( 가사 )
9. 떠나는 님아 , 라이브 ( 가사 )
10. 내 나이가 어때서 / 빗속을 둘이서..
11. You've Got A Friend 12. 일어나
13. 세월 베고 길게 누운 구름 한조각
14. 내 나이가 어때서 , New 버전
15. Stand By Me 16. 하늘의 여자
17. 뜨거운 안녕 18. 소중한 사람
19. 추억의 완도 20. 눈물의 술잔
21. 사랑은 다시 않으리 22. 세월
23. 사랑의 노예 24. 서울 이곳은
25. 상처 26. 인생이란 꿈이라오
27. 끝 없는 사랑 28. 오 내 사랑
29. 사랑하지만 30. 안동역에서
31. 주인공은 나야 나 , 라이브
32. 오승근 노래모음 , 라이브
33. 미워하지 않으리 34. 들꽃
35. 라라라 36. 사랑을 미워해
37. 시계바늘 38. 해운대 연가
39. 남자라는 이유로 40. 사랑
41. 미련 42. 다시 돌려주세요
43. 즐거운 인생 , 2015 버전
44. 빗속을 둘이서 , 라이브
45. 장미꽃 한송이 , 라이브
46. 분다 분다 47. 아슬아슬
48. 오부자의 노래 49. 홍시
50. 하얀나비 51. 부르지마
52. 미운 사랑 53. 몽 (夢)
54. 재회 55. 개나리 처녀
56. More Than I Can Say
57. 노오란 샤츠의 사나이
58. 그대 있었기에 (부부)
59. Rhythm Of The Rain
60. 세월 (1984) [Album]
61. 사랑이란 이름으로
62. 바람을 기다려야지
63. 긴 세월 64. 이별
65. 당신꽃 , 라이브
66. 삼각관계 67. 니
68. 나는 행복한 사람
69. 청춘아 어디 갔니
70. 넥타이 풀어 놓고
71. 그대 떠날지라도
72. 다시 사는 거야
73. 구름에 달 가듯
74. 해바라기 당신
75. 그대 누구신지
76. 그대가 나를
오승근 (吳承根) : 1968년 음악 그룹 " 투에이스 " 를 결성 하면서 가요계에 데뷔한 남성 솔로 가수이며 대표곡으로는 〈장미꽃 한송이〉, 〈있을 때 잘해〉등이 있다.
Ad Ready
** 태양 ( Tae-yang )
1. 링가 링가 , 라이브 , Remix 버전
2. You're My / I Need A Girl , 라이브
3. 나만 바라봐 , 라이브 ( 가사 )
4. 백야 (白夜) 5. Darling 6. Ride
7. Love You To Death 8. Amazing
9. Wedding Dress , 뮤직 비디오
10. Vibe , 뮤직 비디오 ( 가사 )
11. Stay With Me 12. You're My
13. Connection 14. 이게 아닌데
15. Where U At , 뮤직 비디오
16. Good Boy , 뮤직 비디오
17. I'll Be There , 영어 버전
18. Wake Me Up 19. Naked
20. 니가 잠든 후에 21. Hot
22. Make Love 23. 버리고
24. 텅 빈 도로 25. 오늘밤
26. 새벽 한 시 , 라이브
27. 아름다워 28. Move
29. 눈 코 입 , 라이브
30. Louder 31. 죄인
32. Journey To Rise
33. 기도 , 라이브
34. Baby I'm Sorry
35. Just A Feeling
태양 : 본명은 동영배로서 남자 솔로 퍼포먼스형 가수이자 음악 그룹 빅뱅의 메인 보컬이다. 일본 활동시 사용하는 예명은 쏠 (SOL; ソル)이며 스페인어로 태양을 뜻한다. 2008년 솔로 앨범 " Hot " 을 발표하면서 솔로 가수로 가요계에 데뷔하였다. 2009년 제6회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알앤비&소울 부문에서 음반상과 노래상을 수상하며 대중뿐 아니라 평단으로부터 음악성을 인정받았다.
Ad Ready
** 포구락 ( Pogulak )
1. 포구락
포구락 (抛毬樂) : 포구락은 고려 문종(文宗 1073)때 여령(女伶) 초영(楚英) 등 13인이 처음 팔관회(八關會)에서 실현한 것으로 문종(1073年) 이전에 고려에 유입되었음을 「고려사」악지 용속악절도(用俗樂節度)에서 밝혀주고 있다. 그러나 춤의 연희 절차(節次)에 대한 설명은 전혀 없다. 그리고 동지(同志) 당악조(唐樂條)에는 이 춤의 진행 형식을 간략하게 기술해 놓아 포구락의 윤곽과 형태를 파악할 수 있다. 조선조로 내려 와서 「악학궤범(樂學軌範)」 시용당악정재도의(時用唐樂呈才圖儀)에는 춤의 진행절차가 자세하게 수록되어 있고 여러 의물(儀物)의 등장과 무인(舞人)의 수도 16인으로 증가되어 먼저 「고려사」 악지의 것보다는 크게 발전되고 형태가 다양하며 정리된 상태였다. 그 뒤 순조(純祖)대에서 고종(高宗) 말까지 70여년 동안 궁중 연향에서 연희한 것이 역대 진찬·진작·진연의궤 등에서 밝혀 주고 있다. 그리고 이상 여러 차례 출연에서 무원의 수는 변동이 나타나서 증감이 있었으며 두틀의 포구문(抛毬門)을 놓고 무원이 증가하여 화려하게 펼쳐졌던 때도 있었다. 조선 후기로 들어와서는 죽간자만 등장해 있고 다른 의물들은 들어있지 않다. 포구문을 중앙에 두고 무원이 좌우편에 양대로 갈라서서 문 상부에 뚫린 풍류안(風流眼)이라는 구멍에 차례로 채구(彩毬)를 던져 넣어 승부를 가리는 춤으로 채구가 구멍에 들어가면 상으로 꽃을 받고, 만약 들어가지 못하면 벌로 뺨에다 먹칠을 해주는 것으로 마치 농구와 흡사한 춤이다.